이천 물류창고 화재 참사와 관련해 불이 시작된 지하 2층에서 우레탄폼 희석과 승강기 설치 작업이 동시에 진행됐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선 또 담배꽁초가 발견됐는데, 소방 당국은 용접이나 담배 불티가 우레탄폼에 튀어 불이 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이 단독 입수한 화재보고서 내용을 먼저 신준명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천 물류창고 화재 당시 지하 2층을 비춘 차량 블랙박스 화면입니다. <br /> <br />실내에서 시뻘건 화염이 보이더니 불과 20초 만에 검은 화염과 함께 지하 2층 전체를 뒤덮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현장에선 어떤 작업이 진행 중이었을까? <br /> <br />YTN이 입수한 화재조사 보고서를 보면 우레탄폼 희석과 엘리베이터, 덕트 설치 작업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현장에선 산소절단기와 용접기 등 발화기기는 물론이고 담배꽁초와 담뱃갑도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보고서는 발화기기나 담배 불티가 우레탄폼에 튀면서 불이 시작돼 급격히 번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레탄폼 희석 작업을 하면 다량의 유증기가 발생합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화기를 사용하는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면 안 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당시 현장에선 엘리베이터나 덕트를 설치하면서 용접 작업을 한 것으로 소방당국은 추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화재 발생 11분 만에 현장에 도착했지만, 이미 화염과 유독가스는 가장 심각한 상태로 지하 2층부터 지상 4층까지 전 층에 확산한 상태였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신준명[shinjm7529@ytn.co.kr]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천 물류창고 희생자 38명 가운데 절반 가까운 18명은 지상 2층에서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불이 난 곳은 지하 2층인데, 왜 지상 2층에서 인명 피해가 가장 컸는지 의문이었는데요. <br /> <br />YTN이 입수한 화재보고서엔 그 이유가 적시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서 김지환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천 물류창고 화재 당시 지상 1층에서도 우레탄폼 발포 작업이 진행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 탓에 지하 2층에서 시작된 불이 지상 1층에서 다시 거대한 폭발로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지하 2층에서 용접작업과 유증기를 발생시키는 우레탄폼 작업이 한꺼번에 진행되면서 불이 났는데, 지상 1층이 다시 불쏘시개 역할을 한 겁니다. <br /> <br />[서승현 / 경기 이천소방서장(지난달 29일) : 우레탄 작업으로 인해서 폭발적으로 연소가 일어났습니다. 망자들의 상태가 옷이 다 탔기 때문에 추정할 수 있고요.] <br /> <br />문제는 지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51204522533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